본인부담상한제, 제대로 알고 있어야 돈 돌려받습니다
병원비 걱정, 누구나 한 번쯤 해봤을 겁니다.
정기검진이나 간단한 치료야 괜찮지만, 입원하거나 큰 수술을 하게 되면
의료비 부담이 상상 이상으로 커집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건보료 건강보험만 꼬박꼬박 냈다면’ 생각보다 쉽게 의료비를 환급받을 수 있는 제도가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그게 바로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운영하는 ‘본인부담상한제’입니다.
이 제도를 잘 활용하면, 연간 수십~수백만 원의 의료비를 돌려받을 수 있어요.
본인부담상한제란? 의료비 환급의 핵심 제도
본인부담상한제는 의료비가 일정 수준을 넘는 경우,
그 초과한 금액을 환급해주는 건강보험의 핵심 혜택 중 하나입니다.
공단에서는 매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본인이 부담한 건강보험 급여항목 진료비를 기준으로 총액을 집계한 뒤,
소득수준에 따라 정해진 ‘상한액’을 초과한 부분을 돌려줍니다.
중요한 포인트
- 소득이 낮을수록 상한액도 낮습니다.
의료비를 더 많이 돌려받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 상한액은 매년 조금씩 변동됩니다.
2025년 기준 최신 수치는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급여항목만 해당됩니다.
건강검진, 성형 등 비급여 진료는 제외되니 참고하세요.
2025년 소득분위별 본인부담 상한액 총정리
가장 중요한 기준은 ‘소득분위’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소득분위는 납부 중인 건강보험료에 따라 자동 책정되며,
공단이 매년 구간을 나눠서 공개합니다.
2025년 본인부담 상한액 (일반 입원 및 요양병원 장기입원 기준)
| 소득분위 | 일반 입원 상한액 | 요양병원 120일 초과 |
|---|---|---|
| 1분위 | 89만 원 | 141만 원 |
| 2~3분위 | 110만 원 | 178만 원 |
| 4~5분위 | 170만 원 | 240만 원 |
| 6~7분위 | 320만 원 | 396만 원 |
| 8분위 | 437만 원 | 569만 원 |
| 9분위 | 525만 원 | 684만 원 |
| 10분위 | 826만 원 | 1,074만 원 |
요양병원은 입원기간이 120일을 초과하면 별도의 상한이 적용됩니다.
내가 속한 소득분위 확인하는 법
‘나는 몇 분위일까?’ 궁금하신 분들 많으시죠.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 각각 건강보험료가 다르기 때문에 기준도 달라요.
소득분위별 월 건강보험료 기준 (2025년 기준)
| 분위 | 지역가입자 | 직장가입자 |
|---|---|---|
| 1분위 | 12,840원 이하 | 56,330원 이하 |
| 2~3분위 | 12,841~19,780원 | 56,331~80,510원 |
| 4~5분위 | 19,781~38,930원 | 80,511~106,750원 |
| 6~7분위 | 38,931~103,580원 | 106,751~154,120원 |
| 8분위 | 103,581~142,650원 | 154,121~194,500원 |
| 9분위 | 142,651~223,930원 | 194,501~265,900원 |
| 10분위 | 223,931원 초과 | 265,901원 초과 |
공단 고객센터(1577-1000) 또는 The건강보험 앱에서 직접 조회 가능합니다.
환급 신청하는 4가지 방법
환급 대상이 확인됐다면, 가장 편한 방법으로 신청만 하면 됩니다.
보통 신청일로부터 3~5일 이내 입금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1. 온라인 신청
-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 The건강보험 앱 → 인증서 로그인 후 환급 메뉴 접속
- 인증서: 공동·금융인증서, 간편인증(네이버, PASS 등)

저는 아쉽게도 환급 받을 금액이 없네요.
2. 전화 신청
- 1577-1000 전화 → 본인 확인 후 계좌 입력
- 처리기간: 약 2~3일
3. 우편 신청
- 공단에서 발송한 안내문 활용 또는 홈페이지에서 신청서 다운로드
- 신분증 사본, 통장 사본 포함
- 우편 발송 → 1~2주 내 지급
4. 팩스 신청
- 신청서와 신분증, 통장 사본 팩스로 전송
- 지사마다 번호 상이 → 홈페이지 확인 필수
환급 신청 시 주의할 점
- 3년 이내 반드시 신청해야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안내문이 온 후 미신청 상태로 3년이 지나면 소멸됩니다. - 비급여 진료비는 환급되지 않습니다.
건강검진, 성형수술, 도수치료, 상급병실료 등은 제외입니다. - 대리 신청 시, 위임서류 필수
가족 대리신청은 가능하지만, 금액에 따라 서류 구비 필요합니다.
사전급여 vs 사후환급, 어떤 차이가 있나요?
| 항목 | 사전급여 | 사후환급 |
|---|---|---|
| 지급 시점 | 진료 시 실시간 적용 | 익년 8월 이후 지급 |
| 신청 대상 | 동일 요양기관 진료 지속 | 다양한 병원 진료 |
| 신청 방법 | 병원 → 공단에 청구 | 개인이 직접 신청 |
| 장점 | 본인 부담 즉시 줄어듦 | 병원 제약 없음 |
사전급여는 해당 병원에서 일괄 신청되며,
사후환급은 내가 직접 신청해야 하므로 매년 꼭 체크가 필요합니다.
자동지급, 앱 알림, 미수령 환급금 폭증
- 2023년 기준 수혜자 201만 명 돌파,
총 환급액 2조 6,000억 원 이상 - 자동환급 대상자 확대 중 → The건강보험 앱에 계좌 등록하면 신청 없이도 입금
- 2024년 미지급 환급금 약 320억 원 이상 소멸 예정
- 2025년부턴 간편인증 서비스 강화,
앱으로도 간단하게 환급금 조회 가능
실제 수혜 후기 4가지
- “아이 병원비로 3개월간 100만 원 이상 썼는데 돌려받았어요.”
- “The건강보험 앱 덕에 정말 편했어요. 5분도 안 걸렸어요.”
- “퇴직 후 요양병원 입원한 어머니 덕에 상한액 초과돼서 170만 원 환급받았습니다.”
- “전화만 했는데 이틀 만에 계좌로 입금됐어요. 아직도 안 한 사람 많을 듯요.”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자동으로 환급되는 건가요?
A. 일부 대상자(자동지급 동의 계좌 등록자)는 자동 입금되며, 나머지는 직접 신청해야 합니다.
Q2. 상한액은 매년 변하나요?
A. 네, 소득구간과 의료비 지출 추이에 따라 건강보험공단이 매년 조정합니다.
Q3. 상한액 초과는 어떻게 확인하나요?
A. The건강보험 앱 또는 공단 홈페이지에서 본인인증 후 조회 가능합니다.
Q4. 대리 신청은 누구까지 가능하죠?
A. 배우자, 부모, 자녀 가능하며, 30만 원 초과 시 위임장 필수입니다.
Q5. 환급받은 금액은 세금 신고 대상인가요?
A. 아닙니다. 본인부담 진료비 환급은 비과세이며, 세무신고와는 무관합니다.
마치며
건강보험료는 ‘나중을 위한 투자’입니다.
그리고 그 결과는 본인부담상한제라는 확실한 환급제도로 돌아옵니다.
한 해 동안 병원비가 많았다면,
당신도 이미 환급 대상일 수 있습니다.
놓치지 말고 지금 확인하고, 꼭 신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