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도 ISA 첫 개설 후 뭘 담아야 할지 막막했는데요. 그래서 ISA 계좌로 투자 가능한 국내 상장 해외 ETF를 깔끔하게 비교표로 정리했구요. 오늘 글 그대로 따라가면 초보도 상품 선택이 편해집니다!
핵심 개념 빠르게
ISA는 절세형 종합계좌예요. 국내 상장 상품을 담으면 매매가 간단하고 환전 부담도 덜합니다. 특히 ISA 계좌로 투자 가능한 국내 상장 해외 ETF는 원화로 사고팔며, 분배금/매매차익의 세 부담을 줄이는 데 유리하였습니다.
핵심은 세 가지예요. 첫째, 추종지수(S&P500, 나스닥100 등). 둘째, 운용보수. 셋째, 환헤지 여부입니다. 여기에 거래량과 과거 수익률까지 겹쳐 보면 상품 고르기가 쉬워지더라구요!
같은 지수면 수수료 낮은 쪽이 장기 성과에 유리합니다. 환헤지(H)는 변동성을 줄이지만 상승장에선 수익이 다를 수 있어요.
주요 종목 한눈정리
아래 표는 ISA 계좌로 투자 가능한 국내 상장 해외 ETF 중 많이 찾는 대표 라인업을 묶었습니다. 셀 안 문구는 50자 이내로 간단히 넣었어요.
국내 상장 해외 ETF 주요 비교(2025)
| ETF | 운용사 | 최근1년 | 보수 | 특징 |
|---|---|---|---|---|
| KODEX S&P500 | 삼성자산운용 | +14.71% | 0.2293% | 저비용·유동성 |
| TIGER S&P500 | 미래에셋 | N/A | 0.2019% | 환노출 |
| RISE S&P500 | KB자산운용 | N/A | 0.1740% | 최저 보수 |
| ACE S&P500 | 한국투신 | N/A | 0.1755% | 저비용 |
| KODEX 나스닥100 | 삼성자산운용 | +17.55% | 0.1053% | 기술주 중심 |
| KODEX 러셀2000(H) | 삼성자산운용 | -9.07% | 0.45% | 중소형주 |
| ACE 와이드모트 | 한국투신 | +33.19% | 0.45% | 질적 성장주 |
| KODEX AI전력 | 삼성자산운용 | +72.40% | 0.45% | 테마 고성장 |
표만 봐도 감이 오시죠? 이어서 ISA 계좌로 투자 가능한 국내 상장 해외 ETF 중 S&P500 계열의 보수 격차도 확인해보겠습니다.
월급 300만원, ISA ETF로 시작하는 자산 증식 로드맵
S&P500 보수 비교
장기투자에선 0.02% 차이도 복리로 쌓입니다. 아래는 운용사별 S&P500 국내상장 ETF 보수 비교예요.
| ETF | 운용사 | 보수(%) | 연수수료(1천만) | 메모 |
|---|---|---|---|---|
| RISE S&P500 | KB자산운용 | 0.1740 | 17,400원 | 최저 보수 |
| ACE S&P500 | 한국투신 | 0.1755 | 17,550원 | 저보수 |
| TIGER S&P500 | 미래에셋 | 0.2019 | 20,190원 | 유동성 강점 |
| KODEX S&P500 | 삼성자산운용 | 0.2293 | 22,930원 | 대중적 |
| PLUS S&P500 | 한화자산 | 0.6883 | 68,830원 | 비용 높음 |
보수는 총보수/기타비용 포함 방식이 다를 수 있어요. 최신 고지를 상품 공시로 반드시 확인해 주세요.
수익률 해석법
최근 1년 수익률이 높아도 앞으로도 같다는 보장은 없어요. ISA 계좌로 투자 가능한 국내 상장 해외 ETF는 지수/섹터에 따라 변동성이 달라집니다.
Tip은 이겁니다. 동일 지수끼리 보수와 괴리율, 거래대금, 추적오차를 같이 보세요. 그리고 테마형(AI·인프라 등)은 리스크 허용범위를 정하고 분할매수로 접근하면 마음이 편했어요.
조합 전략 포인트
기본은 S&P500로 코어를 두고, 나스닥100로 성장 베타를 얹는 방식이 깔끔했어요. 여기에 AI·인프라 같은 테마를 소량 스파이스로 추가하면 성격이 뚜렷해집니다.
- 핵심: S&P500 저보수 라인업
- 성장: 나스닥100·와이드모트
- 위험분산: 러셀2000(H) 일부
- 테마: AI·전력 인프라 소량
무엇보다 ISA 계좌로 투자 가능한 국내 상장 해외 ETF는 원화 거래라 입출금, 세무 정리가 편합니다. 리밸런싱 주기도 미리 적어두면 감정 개입이 줄더라구요!
오늘 글 핵심 요약
자주 묻는 질문
Q: ISA에서 환헤지(H) 상품은 꼭 필요하나요?
A: 환율 변동을 줄이고 싶다면 도움이 되지만, 장기 우상향에선 환노출이 더 맞을 수도 있습니다. 투자 성향에 맞춰 고르면 됩니다.
Q: ISA 계좌로 투자 가능한 국내 상장 해외 ETF만 담아도 분산이 될까요?
A: S&P500, 나스닥100, 러셀2000, 중국/신흥국 등으로 나누면 분산 효과가 커집니다. 비중표를 미리 정해두면 좋아요.
Q: 보수 차이가 체감될 정도로 큰가요?
A: 장기 복리로 쌓이면 차이가 커집니다. 계산기 결과처럼 0.05%p도 누적되면 꽤 커지더라구요.
Q: 테마형 ETF는 어느 정도가 적당할까요?
A: 코어 70~90%, 테마 10~30% 같은 틀을 잡고, 변동성 구간에선 분할 매수로 접근하면 편했습니다.
Q: 언제 리밸런싱하면 좋나요?
A: 분기·반기처럼 주기를 정하고, 비중이 5%p 이상 벗어나면 조정하는 식이 실전에서 깔끔했어요.
마무리 한 줄 정리
결론은 간단해요. ISA 계좌로 투자 가능한 국내 상장 해외 ETF는 S&P500 저보수로 코어를 만들고, 나스닥100·와이드모트로 성장 베타를 더하고, 테마는 소량으로 맛을 내면 됩니다. 오늘 표 기준으로 본인 원칙만 정해두면 시행착오가 확 줄어들었어요!
이 글은 일반 정보 제공 목적이며, 실제 투자 판단과 책임은 독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최신 보수·지수 구성·공시는 각 운용사 자료를 확인한 뒤 결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