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미국주식을 시작했을 때 저는 정규장만 있는 줄 알았는데요. 알고 보니 프리마켓, 애프터마켓, 주간거래까지 총 세 가지 확장된 시간대가 따로 있더라구요.
적응하는 데 꽤 걸렸는데 지금 생각하면 이런 거래 시간 구조를 제대로 이해하는 게 미국주식 투자의 첫 단추 같았어요. 오늘은 이 부분을 아주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
1. 미국주식 정규장 기본 시간 이해하기
미국주식 거래시간을 이야기할 때 가장 기본이 되는 건 역시 정규장(Regular Market)이에요. 한국 기준으로는 밤 시간대라 처음엔 헷갈리기 쉬운데요. 정규장은 뉴욕증권거래소(NYSE)와 나스닥(NASDAQ)이 동일하게 운영됩니다.
정규장은 한국 시간 기준으로 23:30 ~ 06:00까지 열립니다(서머타임 적용 전 기준). 서머타임이 적용되면 22:30 ~ 05:00으로 한 시간 앞당겨져요.
정규장 시간 요약
| 구분 | 한국 기준 시간 |
|---|---|
| 정규장 | 23:30 ~ 06:00 |
| 서머타임 정규장 | 22:30 ~ 05:00 |
미국의 서머타임은 매년 3월 둘째 주 일요일부터 11월 첫째 주 일요일까지 적용됩니다.
2. 프리마켓(Pre-Market) 완벽 정리
프리마켓은 정규장 이전에 거래가 가능한 시간이에요. 일반적으로 대형 호재나 실적 발표가 장 시작 전 나온 경우 프리마켓에서 주가가 크게 움직이기도 하더라구요. 거래량은 적지만 방향성 참고용으로 보는 분들이 많죠.
프리마켓 시간은 17:00 ~ 23:30이며 서머타임에는 16:00 ~ 22:30입니다.
프리마켓 요약표
| 구분 | 한국 기준 시간 |
|---|---|
| 프리마켓 | 17:00 ~ 23:30 |
| 서머타임 | 16:00 ~ 22:30 |
프리마켓은 거래량이 적어 변동성이 커질 수 있습니다. 특히 중소형주 매매는 위험할 수 있어요.
3. 애프터마켓(After-hours) 거래시간
애프터마켓은 정규장이 끝난 뒤 이어지는 거래 시간이에요. 보통 애프터마켓 실적 발표 때문에 주가가 급격하게 움직일 때가 많습니다.
한국 기준으로는 06:00 ~ 09:00이며 서머타임에는 05:00 ~ 08:00입니다.
테슬라·엔비디아·애플 같은 종목들은 애프터마켓 변동폭이 매우 큽니다.
4. 미국주식 ‘주간거래(Extended Hours)’란?
많은 분들이 “주간거래”라는 단어 때문에 한국 주식처럼 낮에 거래되는 줄 알고 계시더라구요. 하지만 미국주식에서 말하는 주간거래는 프리마켓 + 정규장 + 애프터마켓을 모두 포함한 총 거래 가능 시간을 의미해요.
즉, 미국주식은 하루 최대 16시간 정도 거래가 가능합니다.
미국 주식 낮 거래 재개 핵심 변화, 투자 전략 및 유의사항
증권사마다 “주간거래” 가능 여부가 다릅니다. 일부 증권사는 정규장만 가능하기도 해요.
5. 국내 증권사별 프리마켓·애프터마켓 지원 여부
증권사마다 거래 가능 시간이 다르기 때문에 사용 중인 증권사 설정을 꼭 확인해야 해요. 아래는 대표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증권사 기준으로 간단히 정리한 내용입니다.
| 증권사 | 프리마켓 | 애프터마켓 |
|---|---|---|
| 미래에셋 | 지원 | 지원 |
| 키움증권 | 지원 | 지원 |
| 삼성증권 | 지원 | 지원 |
이 표는 기본적인 비교용이며, 실제 이용 시점의 상세 시간은 증권사 공지사항을 반드시 확인하는 게 좋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미국주식은 거래 시간이 복잡하지만 한 번 구조를 이해하면 엄청 편해져요. 특히 프리마켓·애프터마켓 특징을 알면 실적 발표 때 방향 잡는 데 도움이 되더라구요. 오늘 내용이 투자에 꼭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